프롤로그
이 회사의 컨설팅과 시스템 기획 및 도입을 주도하면서,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던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용어의 정의"였습니다. 이 회사는 수도권에 본사를 두고 충남 지역에 제조 공장을 두고 있었으며 전체 인원이 100여명이 약간 넘은 규모였지만, 생각 보다 회사 내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용어들이 표준화 되지 않고 각 부서별로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어느 회사나 조직내의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을 높이고 업무 처리의 표준화를 위해 기본적으로 "용어의 정의"에 상당히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고 알고 있었는데, 식품제조회사 자체의 특성에 의해서인지 혹은 수십년간 이어져온 각 부서별 업무 처리 과정에서의 차이였는지 몰라도 시급히 개선해야 할 용어의 혼재가 많았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심각했던 용어의 문제로는 바로 제품에 대한 명칭의 문제였습니다. 당연히 식품개발연구소에서 신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반제품과 완제품에 명칭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부서에서 실제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자체적으로 공유되는 전문적인 용어로서 해당 제품을 칭하고 있었는데, 왜 이리 용어가 정리 되지 않고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지를 정보화 담당자에게 물어보니 그 분 조차 회사에서 가장 빨리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가 그 문제라고 공감해주셨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후에 게시되는 포스트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몇가지의 용어를 정의해볼까 합니다. 이 용어 역시 각각의 식품제조회사별로 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각각의 회사의 사정에 맞게 응용해서 이해하시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본 "용어의 정의"에 언급되지 않은 일반적 용어는 그 용어의 통상적 의미로 해석하기로 합니다.
1. 제품개발관련 용어의 정의
제품의 개발과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주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용어 | 의미 | 비고 |
원재료 |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투입하는 식용 재료를 통칭한다. 해당 제품의 배합비를 작성할 때 실제 투입되는 원료라고 이해하면 편합니다. | 모든 카운트는 중량으로 일원화 하며 자재 납품시 단위 포장당 입수 역시 중량으로 카운트 한다. |
부자재 | 식품의 유형으로 가공한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포장용 필름, 지퍼백, 컵, 리드(컵 뚜껑) 및 박스 등의 유형이 이에 해당한다. | 모든 카운트는 EA로 일원화 하며 자재 납품시 단위 포장당 입수 역시 EA로 카운트 한다. |
수분 | 원재료를 구성하는 성분 중 수분의 비율을 의미한다. | 표기는 %로 한다. |
원료고형분(비) | 원재료를 구성하는 성분 중 수분을 제외한 구성 성분의 비율을 의미한다. | 표기는 %로 한다. |
공정 | 배합 및 포장 등의 처리 공정을 의미한다. | |
최대투입량 | 배합 공정의 원재료 최대 투입량을 의미한다. | |
가공유형 | 배합 공정의 가공 유형을 의미하며 추후 원가분석 단계에서 배합용 설비의 유형을 분류하여 별도의 제조경비를 적용하기 위해 분류한다. | 가공유형별로 제조경비 측면에서 전기료, 가스료 등이 차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공정유형 | 배합 공정의 특성을 가공 유형과는 또 다르게 분류하기 위해 사용한다. | |
포장유형 | 포장 공정의 특성을 정의하여 어떤 종류의 포장이 이루어지는지 식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 포장유형별로 제조경비 측면에서 전기료, 가스료 등이 차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배합고형분(비) | 배합 공정이 완료된 후 산출되는 최종 결과물에서 수분을 제외한 비율로 정의한다. | 표기는 %로 한다. |
배합고형비 | 배합 공정이 완료된 후 산출되는 원재료별 최종 결과물에서 수분을 제외한 비율로 정의하며 원료고형분(비) x 배합비로 계산한다. | 표기는 %로 한다. |
작업수율 | 배합 공정이 완료된 후 투입 대비 결과물의 비율로 정의한다. | 표기는 %로 한다. |
이론수율 | 배합 공정의 배합고형분(비) 대비 투입되는 모든 원재료의 고형분(비)의 합계의 비율로 정의한다. | 이론수율의 최대값은 100%가 유지되도록 배합 공정의 배합고형분(비) 정의가 필요함 |
이론중량 | 배합 공정의 결과물의 이론수율 기반의 중량으로 정의한다. | |
작업중량 | 배합 공정의 이론중량에 작업수율을 곱한 결과의 중량으로 정의한다. | |
배치중량 | 이론중량 및 작업중량을 해당 배합공정의 이론수율, 작업수율 기반의 배치 중량이라 정의한다. | |
배합비 | 배합 공정에 투입한 모든 원재료의 투입량 합계 대비 각 원재료별 중량의 비율로 정의한다. | 표기는 %로 한다. |
성분비 | 배치중량 대비 투입된 원재료별 또는 각 원재료의 세부 구성 성분별 비율로 정의한다. | 표기는 %로 한다. |
배합사양서 | 배합 공정의 원재료별 투입량, 투입합계 및 목표중량을 기재하고 해당 배합 공정의 유의사항을 추가적으로 기재한 문서로 정의한다. | |
선공정 배합 | 배합 공정 중 원재료들만으로 배합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 |
후공정 배합 | 배합 공정 중 또다른 배합 공정의 결과물 및 추가적인 원재료를 추가하여 배합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 |
레시피 | 1개 이상의 후공정 배합이 포함되어 각 배합의 비율의 합계가 100%가 되도록 구성된 반제품 배합 사양으로 정의한다. | |
반제품 | 레시피의 정보대로 생산이 완료된 제품으로 정의한다. | |
믹스제품 | 1개 이상의 후공정 배합이 포함된 레시피에 의해 생산된 반제품으로 정의한다. | |
단독제품 | 1개의 후공정 배합이 포함된 레시피에 의해 생산된 반제품으로 정의한다. | |
패키지 | 반제품을 특정 포장용 부자재를 이용하여 포장을 완료한 단위 형상으로 정의한다. | |
벌크 | 패키지와 정의는 같으나 대량의 반제품을 포장한다는 것이 다르다 | |
상품 | 패키지 + 추가 포장용 부자재, 벌크 + 추가 포장용 부자재, 상품 + 추가 포장용 부자재의 형태로 구성되는 단위 형상으로 정의한다. | 일반상품 벌크상품 번들상품 |
2. 자재관련 용어의 정의
원재료 또는 부자재와 같은 자재에 대해 흔히 사용되는 주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용어 | 의미 | 비고 |
단위 | 거래처로 부터 자재를 납품 받는 단위 유형으로 정의한다. | 포, 박스, 통, 롤, EA등 |
단가 | 자재의 단위별 가격으로 정의한다. | |
사양 | 자재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부가 정보로 정의한다. | |
규격 | 자재의 정량 및 정성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부가 정보로 정의한다. | |
입수 | 자재의 단위별 포함 중량 또는 EA로 정의한다. | 원재료: 중량 부자재 : EA |
포장CAPA | 원재료는 항상 0이며, 포장용 부자재의 경우 포장할 수 있는 하위 항목의 갯수이다. 포장과 무관하면 1로 고정한다. | 예: 10개들이 BOX => 10 |
공급선 | 동일한 자재를 서로 다른 거래처에서 공급받는 경우 각각의 거래처를 공급선이라 정의한다. | 동일 업체라도 단가/단위/입수가 틀리면 별도의 공급선으로 취급한다. |
3. 구매/재고관리 관련 용어의 정의
원재료 또는 부자재와 같은 자재의 구매 및 재고관리에 대해 흔히 사용되는 주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용어 | 의미 | 비고 |
수불 | 자재의 장소 이동 행위로 정의한다. | |
반품 | 자재를 다시 거래처로 반환하고 거래를 취소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 |
불용 |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자재의 상태로 정의한다. | |
폐기 | 특정한 목적에 의해 자재를 없애는 행위로 정의한다. | |
손실 | 자재가 개발 또는 생산외의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정의한다. | |
재고 | 특정 보관 위치에 존재하는 모든 자재의 양으로 정의한다. | |
환산 | 재고 x 자재의 입수로 정의한다. | |
LOT | 자재가 거래처로 부터 입고되는 시점마다 부여하는 순서로 정의한다. |
4. 생산 관련 용어의 정의
생산에 대해 흔히 사용되는 주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
용어 | 의미 | 비고 |
T/O | 특정 제품의 생산에 투입되어야 하는 인원의 총 수로 정의한다. | |
CAPA | 단위 시간당 특정 공정의 산출량으로 정의한다. |
홈페이지: http://www.philipsoft.co.kr
Philipsoft
사전 제조원가 분석 식품의 배합, 레시피, 패키지 및 상품을 구성하면 해당 상품의 사전 제조원가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www.philipsoft.co.kr
동영상모음: http://www.philipsoft.co.kr/movie
Philipsoft
Copyright(c) Philipsoft, Inc. All rights reserved.
www.philipsoft.co.kr
문의처: ygkwon@philipsoft.co.kr, 010-8708-4144
권용구 이사